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QGIS는 서로 다른 라이브러리들을 기반으로 빌드되어, 자체 제공자와 결합해 다음과 같은 여러 포맷들을 읽고, 많은 경우 작성할 수도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GeoPackage, GML, GeoJSON, GPX, KML, 쉼표 구분 값, ESRI 포맷(셰이프파일, Geodatabase 등등), MapInfo 및 MicroStation 파일 포맷, AutoCAD DWG/DXF, GRASS, 그 외에도 많은 포맷들을 포함하는 벡터 데이터 유형을 지원합니다. 지원 벡터 유형 의 전체 목록을 읽어보세요.
GeoTIFF, JPEG, ASCII Gridded XYZ, MBTiles, R 또는 Idrisi 래스터, GDAL Virtual, SRTM, Sentinel Data, ERDAS IMAGINE, ArcInfo Binary Grid, ArcInfo ASCII Grid, 그 외에도 많은 포맷들을 포함하는 래스터 데이터 유형을 지원합니다. 지원 래스터 유형 의 전체 목록을 읽어보세요.
PostgreSQL/PostGIS, SQLite/SpatiaLite, Oracle, MS SQL 서버, SAP HANA, MySQL, 그 외에도 많은 유형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지원합니다.
QGIS 제공자는 WM(T)S, WFS, WCS, CSW, XYZ 타일, ArcGIS 서비스 등의 웹 맵 및 데이터 서비스 지원도 처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OGC / ISO 프로토콜 작업 을 참조하세요.
압축 폴더에서 지원하는 파일을 읽어올 수 있고, QML 파일(QML ─ QGIS 스타일 파일 포맷), 가상(virtual) 및 메모리 레이어 같은 QGIS 자체 포맷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DAL 과 QGIS 자체 제공자는 벡터 포맷 80개 이상, 래스터 포맷 140개 이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참고
목록에 있는 포맷 가운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QGIS에서 작동하지 않는 포맷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포맷은 외부 상표등록 라이브러리가 필요할 수도 있고, 사용자 OS에 GDAL/OGR을 설치했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을 지원하도록 빌드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포맷 목록을 얻으려면, QGIS에서 (벡터의 경우) ogrinfo--formats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래스터의 경우) Settings ► Options ► GDAL 메뉴를 확인하십시오.
QGIS는 데이터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도구로 데이터셋을 열 수 있습니다. 주로 Layer ► Add Layer ► 메뉴나 (View ► Toolbars 메뉴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Manage Layers 툴바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도구들은 결국 Data Source Manager Toolbar 에 있는 Open Data Source Manager 버튼이나 Ctrl+L 조합키로 열 수 있는 단일한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으로 연결됩니다. 이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은 파일 기반 데이터는 물론 QGIS가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나 웹 서비스도 열 수 있는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그림 15.1 참조)
이런 주 진입점(entry point) 외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는 고급 성능을 제공하는 DB Manager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DB 관리자 성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플러그인 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다양한 데이터 유형들을 열 수 있도록 해주는 다른 도구들, 자체 또는 제3자 플러그인들도 다수 존재합니다.
이 장에서는 QGIS가 데이터를 불러올 때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도구들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입니다. 주로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에 집중하겠지만, 각 탭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데이터 제공자 또는 포맷 사양에 기반한 도구들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입니다.
Add Selected Layers: 레이어의 컨텍스트 메뉴에서 Add selected layer(s) 를 선택해도 맵 캔버스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Refresh: 탐색 트리를 새로고칩니다.
Filter Browser: 특정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검색어 또는 임의 문자 기호(wildcard)를 입력하면 탐색기가 트리를 필터링해서 입력 문자열과 일치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파일명 또는 폴더를 가리키는 경로만 표시합니다. 일치하지 않는 다른 데이터 또는 폴더는 숨깁니다. 그림 15.2 의 Browser Panel(2) 예시를 참조하십시오. 필터링 작업은 대소문자를 구분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옵션으로 필터링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Normal: 검색어를 포함하는 모든 항목을 반환합니다.
Wildcard(s): 검색 문자열에서 위치를 지정하는 ? 그리고/또는 * 문자를 이용해서 검색을 세밀하게 조정합니다.
Regular expression: 정규 표현식을 이용합니다.
Collapse All: 탐색 트리 전체를 접습니다.
Enable/disable properties widget: 속성 위젯을 켜고 끕니다. 활성화하면, 패널 하단에 선택한 항목의 (메타데이터가 있는 경우) 메타데이터를 표시하는 새 위젯을 추가합니다.
Browser 패널의 항목들은 위계에 따라 구성돼 있으며, 여러 최상위 수준 항목들이 있습니다:
Favorites: 자주 사용하는 위치를 가리키는 단축키를 배치할 수 있는 곳입니다.
Spatial Bookmarks: 자주 사용하는 맵 범위를 저장할 수 있는 곳입니다. (맵 상에서의 범위 북마크 작업 참조)
Project Home: 사용자 프로젝트와 관련된 (대부분의) 데이터가 저장돼 있는 폴더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사용자의 프로젝트 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입니다.
Home: 파일 시스템의 홈 디렉터리 및 파일 시스템 루트 디렉터리
연결된 로컬 또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그 다음 사용자 플랫폼과 기저 라이브러리에 따라 여러 컨테이너/데이터베이스 유형과 서비스 프로토콜이 나열됩니다:
탐색기는 드래그&드롭을 지원합니다. 탐색기 내부에서, 탐색기에서 캔버스 및 Layers 패널로, 그리고 Layers 패널에서 탐색기에 있는 (GeoPackage 같은) 레이어 컨테이너로 드래그&드롭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에 있는 프로젝트 파일 항목을 해당 프로젝트가 담고 있는 (그룹 포함) 전체 레이어 트리를 표시하도록 펼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항목을 브라우저의 다른 모든 항목과 마찬가지로 취급하기 때문에, 탐색기 안에서 드래그&드롭하거나 (예를 들어 레이어 항목을 GeoPackage 파일로 복사하거나) 현재 프로젝트에 드래그&드롭 또는 더블 클릭을 통해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Browser 패널에 있는 요소를 오른쪽 클릭하면 컨텍스트 메뉴가 열립니다.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항목의 경우, 컨텍스트 메뉴에서 다음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New ► 메뉴 옵션을 선택하면 다음 선택한 항목에 생성합니다:
Directory…
GeoPackage…
ShapeFile…
Add as a Favorite: 언제든 즐겨찾기 폴더를 재명명하거나(Rename favorite…) 제거할 수(Remove favorite) 있습니다.
Hide from Browser: Settings ► Options ► Data Sources ► Hidden browser paths 설정에서 숨긴 폴더들을 가시화시키도록 켜고 끌 수 있습니다.
Fast Scan this Directory
Open Directory
Open in Terminal
Properties…
Directory Properties…
프로젝트에서 레이어로 동작할 수 있는 지엽(leaf; 맨 마지막 끝 노드) 항목의 경우, 컨텍스트 메뉴에 지원하는 옵션을 표시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나 서비스 기반이 아닌 벡터, 래스터 및 메시 데이터소스의 경우:
Export Layer ► To File…
Add Layer to Project
Layer Properties
Manage ► Rename “<name of file>”… 또는 Delete “<name of file>”…
Show in Files
File Properties
Layer properties 항목의 컨텍스트 메뉴는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추가한 다음 벡터 및 래스터 레이어 속성에서 찾을 수 있는 것과 비슷한) 다음 옵션을 표시할 것입니다:
레이어 용 Metadata: 메타데이터 그룹의 컨텍스트 메뉴 옵션은 Information from provider (가능한 경우, Path 가 소스를 가리키는 하이퍼링크일 것입니다), Identification, Extent, Access, Fields (벡터 레이어 용), Bands (래스터 레이어 용), Contacts, Links (벡터 레이어 용), References (래스터 레이어 용), History 입니다.
Preview 패널
(Attributes 패널에 있는) 벡터 소스 용 속성 테이블
Browser 를 사용해서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추가하려면:
앞에서 설명한대로 Browser 를 활성화하십시오. 사용자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비스의 탐색 트리가 표시될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나 웹 서비스를 표시하려면 먼저 연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또는 웹 서비스 절을 참조하세요.)
목록에서 레이어를 찾으십시오.
컨텍스트 메뉴를 사용해서 레이어 이름을 더블 클릭하거나 맵 캔버스 로 레이어를 드래그&드롭하십시오. 레이어 패널 에 사용자 레이어를 추가하고 맵 캔버스 상에 표시할 것입니다.
팁
탐색기에서 QGIS 프로젝트를 직접 열기
프로젝트 이름을 더블 클릭하거나 맵 캔버스로 드래그&드롭하면 탐색기 패널에서 QGIS 프로젝트도 직접 열 수 있습니다.
파일을 불러왔다면, 맵 탐색 도구를 사용해서 레이어 주변을 확대/축소 및 이동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스타일을 변경하려면 레이어 이름을 더블 클릭하거나, 범례에서 레이어 이름을 오른쪽 클릭하고 컨텍스트 메뉴에서 Properties 를 선택해서 Layer Properties 대화창을 여십시오. 벡터 레이어의 심볼을 설정하는 데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심볼 속성 절을 참조하세요.
탐색 트리에 있는 항목을 오른쪽 클릭하면 다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일 또는 테이블인 경우, 해당 항목의 메타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프로젝트에 항목을 열 수 있습니다. 테이블의 경우 재명명하거나, 삭제하거나, 절단할 수도(truncate) 있습니다.
폴더인 경우, 사용자의 즐겨찾기에 북마크해두고 탐색 트리에서 숨길 수 있습니다. Settings ► Options ► Data Sources 탭에서 이렇게 숨긴 풀더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공간 북마크 관리: 북마크를 생성하거나, XML 파일로 내보내거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또는 웹 서비스로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를 새로고침하거나, 재명명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드래그&드롭하는 것만으로도 데이터베이스로 파일을 불러들이거나 어떤 스키마/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스키마/데이터베이스로 테이블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하는 동안 오래 스크롤을 해야 하는 일을 피하기 위해 두 번째 탐색 패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냥 파일을 선택한 다음 한쪽 패널에서 다른 패널로 드래그&드롭하십시오.
DB Manager 플러그인은 QGIS가 지원하는 (PostGIS, SpatiaLite, GeoPackage, Oracle Spatial, MS SQL 서버, 가상 레이어 등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유형들을 통합하고 관리하기 위한 또다른 도구입니다. Plugins ► Manage and Install Plugins… 메뉴 항목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서 지원 데이터소스를 불러오십시오. 대화창에서 Ctrl 키를 누른 채 여러 항목을 클릭하거나, Shift 키를 누른 채 선택 범위의 첫 번째 항목과 마지막 항목을 클릭하면 한 번에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잘 검증된 포맷들만 포맷 필터에 표시됩니다. (풀다운 메뉴에서 맨 위에 있는) Allfiles 를 선택하면 다른 포맷들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Open 을 클릭하면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으로 선택한 파일을 불러들입니다.
Add 버튼을 클릭해서 파일을 QGIS로 불러와 맵 뷰에 보이게 하십시오. 레이어 여러 개를 담고 있는 벡터 데이터셋을 추가하는 경우 Select Items to Add 대화창이 열릴 것입니다. 이 대화창에서, 사용자가 데이터셋에서 추가하고 싶은 특정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Options 부분에서 다음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Add layers to a group: 그룹에 레이어를 추가
Show system and internal tables: 시스템 테이블 및 내부 테이블 보이기
MapInfo(예를 들면 .tab) 또는 Autocad(.dxf) 같은 일부 포맷은 파일 하나 안에 서로 다른 도형 유형을 함께 담을 수 있기 때문에 QGIS에 이런 포맷을 불러올 경우 레이어 하나 당 도형 유형 하나만 보유할 수 있도록, 사용할 도형을 선택할 수 있는 대화창이 열립니다.
Add Vector Layer 및 Add Raster Layer 탭에서는 File 이 아닌 소스 유형으로부터도 레이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ArcInfoBinaryCoverage, UK.NationalTransferFormat 과 같은 특정 벡터 포맷 뿐만 아니라 USCensusBureau 또는 OpenfileGDB 의 원시(raw) TIGER 포맷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Source type 으로 Directory 를 선택해야합니다. 이때 …Browse 를 누르면 대화창에서 디렉토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Database 소스 유형로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한 데이터베이스 유형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ODBC, EsriPersonalGeodatabase, MSSQL서버 는 물론 PostgreSQL 또는 MySQL 등 많은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New 버튼을 누르면 Create a New OGR Database Connection 대화창이 열립니다. 저장된 연결 생성하기 에서 이 대화창의 파라미터에 대한 내용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Open 을 클릭하면, 예를 들어 PostGIS 활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고를 수 있습니다.
Protocol: HTTP(S), cloud, etc. 소스 유형은 로컬에 저장된 또는 네트워크 상에 있는 데이터를 엽니다. 이때 네트워크를 공개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고, 상용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의 비공개 버킷(private bucket)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 유형을 지원합니다:
메시(mesh)란 일반적으로 시계열 및 기타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비구조적 그리드를 말합니다. 공간 요소는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있는 꼭짓점, 변(edge) 및 면(face)의 집합을 담고 있습니다. 메시 레이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메시 데이터 작업 을 참조하세요.
QGIS에 메시 레이어를 추가하려면:
Layer ► 메뉴에서 선택하거나 Open Data Source Manager 버튼을 클릭해서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을 여십시오.
앞에서 설명한 도구들을 이용해서 QGIS에 구분 텍스트 파일(예: .txt, .csv, .dat, .wkt)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불러오면, 단순 테이블처럼 표시될 겁니다. 그런데 구분 텍스트 파일이 사용자가 가시화하려는 좌표/도형 데이터를 담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이 Add Delimited Text Layer 를 개발한 이유입니다.
Open Data Source Manager 아이콘을 클릭해서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을 여십시오.
Delimited Text 탭을 선택하십시오.
…Browse 버튼을 클릭해서 가져올 구분 텍스트 파일을 (예를 들어 qgis_sample_data/csv/elevp.csv 파일을) 선택하십시오.
Layer name 필드에 프로젝트에서 레이어 용으로 사용할 이름을 (예를 들어 Elevation 을) 입력하십시오.
QGIS는 (Detect field types 옵션을 체크 해제하지 않은 이상) 선택적인 CSVT 사이드카(sidecar) 파일의 내용을 살펴보고 (GeoCSV 사양 참조) 실제로 모든 값을 오류 없이 변환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체 파일을 스캔해서 필드 유형을 자동으로 탐지하려 시도합니다. 오류 발생 시 필드 유형을 텍스트로 되돌립니다.
탐지된 필드 유형은 단순 데이터 미리보기 테이블의 파일명 아래 나타나며 필요한 경우 직접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필드 유형들을 지원합니다:
Boolean: 불 값으로 해석되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문자열 쌍은 1/0, true/false, t/f, yes/no 입니다.
파일 파싱 작업이 끝나면 Geometry definition 을 다음 가운데 하나로 설정하십시오.
Point coordinates: 레이어가 포인트 도형 유형이며 해당 필드를 가지고 있다면 X field, Y field, (3차원 데이터의 경우) Z field 를 입력하고, (측정 치수용) M field 도 지정하십시오. 좌표가 도/분/초로 정의된 경우, DMS coordinates 체크박스를 체크하십시오. Select CRS 위젯을 이용해서 적절한 Geometry CRS 를 지정하십시오.
Well known text (WKT): WKT로 공간 정보를 표현하는 경우 이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WKT 도형을 담고 있는 Geometry field 를 선택하고 적절한 Geometry field 를 선택하거나 QGIS가 자동으로 식별하게 하십시오. Select CRS 위젯을 이용해서 적절한 Geometry CRS 를 지정하십시오.
파일이 비공간 데이터를 담고 있는 경우, No geometry (attribute only table) 옵션을 활성화하면 파일을 서수(序數) 테이블로 불러들일 것입니다.
Use spatial index: 피처를 공간적으로 선택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Use subset index: (레이어 속성에 하위 집합을 정의한 경우) 하위 집합 필터 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Watch file: QGIS 실행 중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파일을 변경하지는 않는지 감시합니다.
마지막으로 Add 를 클릭하면 맵에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프로젝트에 Elevation 이라는 이름의 포인트 레이어를 추가하며, 이 레이어는 QGIS에서 다른 모든 맵 레이어와 마찬가지로 동작합니다. 이 레이어는 .csv 소스 파일을 쿼리한 결과물로 (즉 해당 파일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디스크 상에 공간 레이어를 만들려면 저장 해야만 합니다.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많은 나라에서 디지털 도로 지도 같은 무료 지리 데이터가 없기 때문입니다. GPS 데이터, 항공사진 또는 현지인의 지식으로 편집 가능하고 무료인 세계 지도를 생성하는 것이 OSM(OpenStreetMap) 프로젝트의 목표입니다. 이 목표를 돕기 위해, QGIS는 OSM 데이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Browser Panel 을 통해 맵 캔버스에 .osm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데, 이때 도형 유형을 바탕으로 하위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는 대화창이 열립니다. 불러온 레이어는 .osm 파일에 있는 모든 도형 유형의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osm 파일 데이터 구조를 유지할 것입니다.
드롭다운 메뉴에서 QGIS가 이미 알고 있는 SpatiaLite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서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새 데이터베이스로의 새 연결을 정의할 수 있는 대화창이 열립니다. 새 연결을 정의하려면, New 를 클릭한 다음 파일 탐색기에서 사용자 SpatiaLite 데이터베이스를 지정하십시오. SpatiaLite 데이터베이스는 .sqlite 확장자를 가진 파일입니다.
GPS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십 개의 서로 다른 파일 포맷이 있습니다. QGIS가 이용하는 포맷은 GPX(GPS eXchange format)라고 불리는데, 동일 파일 내에 웨이포인트, 루트 및 트랙을 얼마든지 담을 수 있는 표준 교환(interchange) 포맷입니다.
…Browse 버튼으로 GPX 파일을 선택한 다음, 체크박스를 통해 해당 GPX 파일에서 불러오고자 하는 피처 유형을 선택하십시오. 각 피처 유형을 개별 레이어로 불러올 것입니다.
QGIS가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에서 테이블을 읽고 쓰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로의 연결을 생성해야 합니다. QGIS 탐색기 패널 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사용하는 데 가장 간단하고 추천받는 방법이긴 하지만, QGIS는 각 데이터베이스 유형에 연결하고 테이블을 불러올 수 있는 다른 도구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Add PostGIS Layer… 또는 Ctrl+Shift+D 단축키 입력
Add MS SQL Server Layer
Add Oracle Spatial Layer… 또는 Ctrl+Shift+O 단축키 입력
Add SAP HANA Spatial Layer… 또는 Ctrl+Shift+G 단축키 입력
Manage Layers Toolbar 또는 Layer ► Add Layer ► 메뉴를 통해 이 도구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SpatiaLite 데이터베이스 연결 방법은 SpatiaLite 레이어 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팁
QGIS 탐색기 패널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 생성
탐색 트리에서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선택해서 오른쪽 클릭한 다음, Connect 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 연결 대화창이 열릴 겁니다.
연결 대화창 대부분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도구를 예시 삼아 다음에 설명할 공통 기초를 따릅니다. 다른 제공자들에 특화된 추가 설정에 대한 설명은 각각 다음 절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처음으로 PostGIS 데이터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의 연결을 생성해야만 합니다. 먼저 앞에서 설명한 대로 올바른 버튼을 클릭해서 Add PostGIS Table(s) 대화창을 여십시오. (그림 15.15 참조) 연결 관리자에 접근하려면, New 버튼을 클릭해서 Create a New PostGIS Connection 대화창을 여십시오.
PostGIS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명하겠습니다. 다른 데이터베이스 유형의 경우, 특정 연결 요구사항 에서 차이점들을 참조하세요.
Name: 해당 연결을 위한 이름입니다. Database 파라미터와 동일해도 됩니다.
Service: 호스트명/포트 (및 어쩌면 데이터베이스) 대신 쓸 수 있는 서비스 파라미터입니다. pg_service.conf 파일 안에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PostgreSQL 서비스 연결 파일 을 참조하세요.
Host: 데이터베이스 호스트의 이름입니다. TCP/IP 연결을 열거나 호스트를 핑(ping)하는 데 쓰일 수도 있기 때문에 분해할 수 있는(resolvable) 호스트명이어야만 합니다. 데이터베이스가 QGIS와 동일한 컴퓨터에 있는 경우, 그냥 localhost 라고 입력하십시오.
Port: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열어 놓은 포트 번호입니다. PostGIS 용 기본 포트는 5432 입니다.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입니다.
SSL mode: SSL 암호화 설정입니다. 다음 옵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efer (기본값): 암호화에 신경을 쓰지는 않지만, 서버가 암호화를 지원한다면 암호화 오버헤드(overhead)를 감당할 용의가 있습니다.
Require: 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싶습니다. 오버헤드도 감당하겠습니다. 네트워크가 내가 원하는 서버에 항상 연결하도록 보장할 것을 믿습니다.
Verify CA: 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싶습니다. 오버헤드도 감당하겠습니다. 내가 신뢰하는 서버에 연결된다고 확신하고 싶습니다.
Verify Full: 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싶습니다. 오버헤드도 감당하겠습니다. 내가 지정한 신뢰하는 서버에 연결된다고 확신하고 싶습니다.
Allow: 보안에 신경을 쓰지는 않지만, 서버가 암호화를 고집한다면 암호화 오버헤드를 감당할 용의가 있습니다.
Disable: 보안에 신경을 쓰지도 않고, 암호화 오버헤드를 감당할 용의도 없습니다.
Authentication: 기본적인 인증 정보
User name: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하는 데 쓰이는 사용자명
Password: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자명 과 함께 쓰이는 비밀번호
Username 과 Password 파라미터 가운데 하나를, 또는 둘 다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야 할 때마다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내용을 저장하지 않는다면 다음 QGIS 세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때 인증 정보를 제공하라는 알림을 띄울 것입니다. 현재 세션을 종료할 때까지, QGIS는 사용자가 입력한 연결 파라미터를 임시 내부 캐시에 저장해서 동일한 데이터베이스가 이를 요구할때마다 사용자명/비밀번호를 반환합니다.
경고
QGIS 사용자 설정 및 보안
Authentication 탭에서 사용자명 과 비밀번호 를 저장하면 연결 환경 설정에 보안되지 않은 인증 정보를 저장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다른 사용자와 프로젝트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이런 인증 정보가 노출될 것입니다. 따라서 인증 환경 설정 (Configurations 탭 – 더 자세한 내용은 인증 시스템 참조) 또는 서비스 연결 파일(예시를 보려면 PostgreSQL 서비스 연결 파일 참조)에 사용자 인증 정보를 대신 저장하는 편이 좋습니다.
Authentication: 인증 환경을 설정합니다. 인증 환경 설정을 선택하십시오. 버튼으로 환경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 인증
PKI PKCS#12 인증
PKI 경로 인증
개인식별인증서(identity certificate)를 저장한 PKI
데이터베이스 유형에 따라 다음 체크박스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Only show layers in the layer registries: 레이어 레지스트리에만 레이어를 표시합니다.
Don’t resolve type of unrestricted columns (GEOMETRY): 제약 조건이 없는 도형 열 유형을 분해하지 않습니다.
Only look in the ‘public’ schema: ‘퍼블릭’ 스키마만 검색합니다.
Also list tables with no geometry: 도형을 가지고 있지 않은 테이블도 목록화합니다.
Use estimated table metadata: 평가된 테이블 메타데이터를 사용합니다.
Allow saving/loading QGIS projects in th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에 QGIS 프로젝트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Allow saving/loading QGIS layer metadata in th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에 QGIS 레이어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팁
수행 속도 향상을 위해 예측된 테이블 메타데이터 이용
레이어 초기화 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된 도형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쿼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Use estimated table metadata 옵션을 체크하면, 전체 테이블을 쿼리하는 대신 일부 행만 검사하고 테이블 통계를 이용하는 쿼리를 실행합니다. 대용량 데이터셋의 경우 작업 속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지만, 레이어 특성을 부정확하게 표시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필터링된 레이어의 피처 개수가 부정확할 것입니다) 유일(unique)하다고 간주한 열이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 이상하게 동작할 가능성조차 있습니다.
모든 파라미터와 옵션을 설정하고 나면, Test Connection 버튼을 클릭해서 연결을 검증하거나 OK 를 눌러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이제 Add PostGIS Table(s) 에서 Connect 를 클릭하면 대화창에 (그림 15.15 처럼) 선택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이 표시됩니다.
앞의 예시에는 서비스가 water_service 와 wastewater_service 2개 있습니다. QGIS, pgAdmin 등에서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서비스명만 (괄호로 감싸지 않고) 설정해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psql 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psqlservice=water_service 명령어를 실행하하면 됩니다.
서비스 파일에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싶지 않다면 .pg_pass 옵션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QGIS 서버와 서비스
서비스 파일과 QGIS 서버를 사용할 때, 서버 쪽에서도 반드시 서비스를 환경설정해야만 합니다. QGIS 서버 지침서 문서를 참조해보십시오.
GNU/리눅스, 맥OS 등 *닉스 운영체제 상에서 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pg_service.conf 파일을 저장하면 PostgreSQL 클라이언트가 해당 파일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로그인한 사용자가 web 일 경우, (다른 환경 변수를 지정하지 않고) 직접 작업하려면 /home/web/ 디렉터리에 .pg_service.conf 파일을 저장해야 합니다.
PGSERVICEFILE 환경 변수를 생성해서 서비스 파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닉스 운영체제에서 일시적으로 PGSERVICEFILE 변수를 설정하려면 exportPGSERVICEFILE=/home/web/.pg_service.conf 명령어를 실행하십시오.)
pg_config--sysconfdir 명령어로 .pg_service.conf 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정하거나, 서비스 연결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를 지정한 PGSYSCONFDIR 환경 변수를 추가해서 시스템 수준에서 (모든 사용자가) 서비스 연결 파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동일한 이름의 서비스 정의가 사용자 파일과 시스템 파일 양쪽에 모두 있을 경우, 사용자 파일을 우선합니다.
경고
윈도우의 경우 다음과 같은 위험 부담이 있습니다:
서비스 파일을 .pg_service.conf 가 아니라 pg_service.conf 로 저장해야 합니다.
서비스 파일이 제대로 동작하려면 유닉스 서식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한 가지 방법을 소개하자면, Notepad++ 로 파일을 연 다음 Edit ► EOL Conversion ► UNIX Format ► File save 메뉴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 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확실하다고 알려진 검증된 방법은 Control Panel ► System and Security ► System ► Advanced system settings ► Environment Variables 메뉴에서 PGSERVICEFILE 과 그 경로를, 예를 들어 C:\Users\John\pg_service.conf 를 입력해서 추가하는 것입니다.
Oracle Spatial의 공간 기능들을 이용하면 Oracle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지리 및 위치 데이터를 자체 유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저장된 연결 생성하기 에 있는 몇몇 옵션 이외에도, 연결 대화창은 다음을 제안합니다:
Database: Oracle 인스턴스의 SID 또는 SERVICE_NAME입니다.
Port: Oracle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열어 놓은 포트 번호입니다. 기본 포트는 1521 입니다.
Options: Oracle 연결 특화 옵션입니다. (예: OCI_ATTR_PREFETCH_ROWS, OCI_ATTR_PREFETCH_MEMORY) 이 옵션 문자열의 서식은 옵션 이름을 쌍반점으로 구분한 목록이거나, 옵션=값 쌍의 목록입니다.
Workspace: 전환할 작업 공간입니다.
Schema: 데이터를 저장할 스키마입니다.
다음 체크박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Only look in metadata table: all_sdo_geom_metadata 뷰에 있는 테이블만 표시하도록 제한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공간 테이블의 초기 표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nly look for user’s tables: 공간 테이블 검색 시 사용자가 소유한 테이블만 검색하도록 제한합니다.
Also list tables with no geometry: 도형이 없는 테이블도 기본적으로 목록에 표시할지 말지를 나타냅니다.
Use estimated table statistics for the layer metadata: 레이어 설정 시 Oracle 테이블을 위한 다양한 메타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 메타데이터는 테이블 행 개수, 도형 유형 및 도형 열에 있는 데이터의 공간적 범위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테이블의 행이 많을 경우, 이런 메타데이터를 알아내는 데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은 신속한 테이블 메타데이터 작업을 수행합니다: all_tables.num_rows 로부터 행 개수를 결정합니다. 레이어 필터를 적용한 경우라도 언제나 SDO_TUNE.EXTENTS_OF 함수로 테이블 범위를 결정합니다. 테이블에 있는 NULL이 아닌 도형 행 처음 100줄로부터 테이블 도형을 결정합니다.
Only existing geometry types: 기존 도형 유형만 목록에 표시하고 다른 유형을 추가하려 하지 않습니다.
Include additional geometry attributes: 추가적인 도형 속성을 포함시킵니다.
새 MS SQL 서버 연결을 생성하려면, Connection Details 대화창에 다음 정보 가운데 일부를 제공해야 합니다:
Connection name: 연결 이름
Provider/DSN: 제공자/DSN(Data Source Name) 정보
Host: 호스트 이름
Login: 로그인 정보. Save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사용자 자격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Database Details 부분으로 가서 List Databases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셋을 볼 수 있습니다. 원하는 데이터셋을 선택한 다음 OK 버튼을 누르십시오. 아니면 Test Connection 버튼을 클릭해서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OK 버튼을 클릭하고 나면 Create a New MS SQL Server Connection 대화창이 닫힐 것입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에서 Connect 버튼을 누른 다음 레이어를 선택하고 Add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다음 옵션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Only look in the geometry_columns metadata table: ‘geometry_columns’ 메타데이터 테이블만 검색합니다.
Use layer extent from geometry_columns table: 이 옵션은 첫 번째 옵션에 의존적입니다. 첫 번째 옵션을 체크하지 않으면 이 옵션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Use primary key from geometry_columns table: ‘geometry_columns’ 테이블의 기본 키를 사용합니다.
Also list table with no geometry: 사용 가능 테이블 목록에 도형 열이 없는 테이블도 보이게 합니다.
Use estimated table parameters: 평가된 테이블 메타데이터만 사용할 것입니다. 이 옵션을 체크하면 테이블 스캔 시간이 빨라지지만, 레이어 범위 같은 레이어 속성이 부정확해질 수도 있습니다.
Skip invalid geometry handling: 무결하지 않은 도형을 가진 모든 레코드의 처리를 비활성화할 것입니다. 이 옵션을 체크하면 제공자의 속도가 빨라지지만, 테이블에 무결하지 않은 도형이 하나라도존재하는 경우 결과물이 예측하기 힘들어지고 누락된 레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도형이 무결하며 새로 추가되는 도형 또는 테이블도 모두 무결할 것이라고 확신하는 경우에만 이 옵션을 체크하십시오.
Use only a Subset of Schemas: MS SQL 연결에 대한 스키마를 필터링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옵션을 체크하면, 체크한 스키마만 보이게 될 것입니다. 목록에 있는 어떤 스키마든 오른쪽 클릭으로 Check 또는 Uncheck 할 수 있습니다.
Driver: HANA ODBC 드라이버의 이름으로, QGIS 64비트 버전을 이용하는 경우 HDBODBC, QGIS 32비트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HDBODBC32 입니다. 적절한 드라이버 이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Driver: /etc/odbcinst.ini 파일에 등록된 SAP HANA ODBC 드라이버의 이름, 또는 SAP HANA ODBC 드라이버를 가리키는 전체 경로 가운데 하나입니다. SAP HANA 클라이언트 설치 파일은 기본적으로 /usr/sap/hdbclient/libodbcHDB.so 에 ODBC 드라이버를 설치할 것입니다.
Host: 데이터베이스 호스트의 이름입니다.
Identifier: 호스트 상에서 연결할 인스턴스를 식별합니다. Instance Number 또는 Port Number 가운데 하나일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번호는 두 자릿수이고, 포트 번호는 1에서 65,535 사이의 숫자입니다.
Mode: SAP HANA 인스턴스의 실행 모드를 지정합니다. Identifier 를 Instance Number 로 설정한 경우에만 이 설정을 작업에 포함할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컨테이너를 여러 개 호스팅하고 있다면 Tenant database 에서 지정한 이름을 가진 테넌트(tenant)에 연결하거나, 아니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Schema: 선택적인 파라미터입니다. 스키마 이름을 지정한 경우, QGIS는 해당 스키마의 데이터만 검색할 것입니다. 스키마 란을 비워놓는 경우 QGIS가 모든 스키마의 데이터를 검색할 것입니다.
Authentication ► Basic:
User name: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데 쓰이는 사용자명
Password: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데 쓰이는 비밀번호
SSL Settings:
Enable TLS/SSL encryption: TLS 1.1 ~ TLS1.2 암호화를 활성화합니다. 서버가 사용 가능한 가장 높은 버전을 선택할 것입니다.
Provider: SSL 통신에 사용되는 암호화 라이브러리 제공자(cryptographic library provider)를 지정합니다. sapcrypto 는 모든 플랫폼 상에서 작동할 것입니다. openssl 는 리눅스와 맥 상에서 작동할 것입니다. mscrypto 는 윈도우 상에서 작동할 것입니다. commoncrypto 가 작동하려면 CommonCryptoLib을 설치해야 합니다.
Validate SSL certificate: 이 옵션을 체크하면, Trust store file with public key 에서 지정한 신뢰 저장소(TrustStore)를 이용해서 인증서를 인증할 것입니다.
Override hostname in certificate: 서버의 신원을 검증하기 위해 쓰이는 호스트 이름을 지정합니다. 여기에서 지정한 호스트 이름이 연결을 성립시켰던 호스트 이름 대신 서버의 신원을 검증합니다. 호스트 이름을 * 로 지정하면, 서버의 호스트 이름이 인증되지 않습니다. 다른 와일드카드 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Keystore file with private key: 현재로서는 무시됩니다. 이 파라미터는 향후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대신 인증서를 통한 인증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Trust store file with public key: OpenSSL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의 공공 인증서를 담고 있는 신뢰 저장소 파일을 가리키는 경로를 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신뢰 저장소는 루트 인증서 또는 서버의 공공 인증서를 서명한 인증 기관의 인증서를 담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CommonCryptoLib 또는 msCrypto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속성을 비워두십시오.
Only look for user’s tables: 이 옵션을 체크하면, QGIS가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사용자가 소유한 테이블 및 뷰만 검색합니다.
Also list tables with no geometries: 이 옵션을 체크하면, QGIS가 공간 열을 담고 있지 않은 테이블 및 뷰도 검색합니다.
팁
SAP HANA 클라우드를 연결하기
SAP HANA 클라우드 인스턴스에 연결하고 싶다면 일반적으로 Port Number 를 443 으로 설정하고 Enable TLS/SSL encryption 옵션을 활성화해야만 합니다.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하나 이상 정의하고 나면 (저장된 연결 생성하기 참조)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이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물론 불러올 데이터가 있어야만 합니다. 예를 들어 PostGIS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에 대한 내용은 PostgreSQL로 데이터 가져오기 를 참조하십시오.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이어를 불러오려면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Add <database> table(s)” 대화창을 엽니다. (저장된 연결 생성하기 참조)
드롭다운 목록에서 연결을 선택한 다음 Connect 를 클릭합니다.
Also list tables with no geometry 체크박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Search Options 의 일부 옵션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검색과 일치하는 테이블 목록을 줄일 수 있습니다. Connect 버튼을 누르기 전에 이 옵션을 설정하면,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시간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레이어 목록에서 사용자가 추가하려 하는 레이어(들)를 찾습니다.
그 레이어를 클릭해서 선택하십시오. Shift 또는 Ctrl 키를 누른 채 클릭하면 레이어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경우, Set Filter 버튼을 눌러 (또는 레이어를 더블 클릭해서) Query Builder 대화창(쿼리 작성기 참조)을 연 다음 선택한 레이어에서 어떤 피처를 불러올 지 정의합니다. 필터 표현식은 sql 열에 표시됩니다. Layer Properties ► General ► Provider Feature Filter 프레임에서 이 제약 조건을 제거하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Selectatid 열에 있는 체크박스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돼 있는데, 이를 통해 속성 없이 피처 ID만 얻게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가 향상됩니다.
Data Source Manager 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추가하는 작업은 QGIS가 각 테이블을 추가하기 전에 통계 및 속성을 (예를 들어 도형 유형 및 필드, 좌표계, 피처 개수) 가져오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피하려면, 연결을 설정한 다음 탐색기 패널 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를 사용해서 맵 캔버스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드래그&드롭하는 편이 좋습니다.
QGIS는 기본적으로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지원하는 연결 또는 데이터 제공자에서 레이어 메타데이터를 검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메타데이터 저장하기 를 참조하세요.) Metadata search 패널에서 레이어를 레이어의 메타데이터로 탐색하고 (더블클릭하거나 Add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목록을 다음으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의 Vector Tiles 탭 또는 Browser 패널에 있는 Vector Tiles 항목의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벡터 타일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New Generic Connection… 또는 New ArcGIS Vector Tile Service Connection… 가운데 하나로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추가해서 서비스를 설정하십시오:
Name: 서비스 이름입니다.
URL: 일반 서비스의 경우 http://example.com/{z}/{x}/{y}.pbf 유형의 URL, ArcGIS 기반 서비스의 경우 http://example.com/arcgis/rest/services/Layer/VectorTileServer 유형의 URL입니다. 타일을 .pbf 포맷으로 서비스해야만 합니다.
Min. Zoom Level 과 Max. Zoom Level: 벡터 타일은 피라미드 구조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타일 피라미드로부터 레이어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QGIS가 이 레이어들을 이용해서 벡터 타일을 렌더링할 것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벡터 타일이 사용하는) 메르카토르 투영법의 경우, 확대/축소 0수준이 1:500,000,000 축척에서 전세계를 표현하고 14수준에서 1:35,000 축척을 표현합니다.
Style URL: 맵박스(MapBox) GL JSON 스타일 환경 설정을 가리키는 URL입니다. 이 옵션을 지정하면, 연결로부터 레이어가 QGIS에 연결될 때마다 해당 스타일을 적용할 것입니다. ArcGIS 벡터 타일 서비스 연결의 경우 이 URL이 서버 환경 설정에 지정된 기본 스타일 환경 설정을 무시합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의 Vector Tiles 항목 또는 Browser 패널에 있는 Vector Tiles 의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환경 설정을 .XML 파일로 (Save Connections)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일로부터 환경 설정을 (Load Connections)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벡터 타일 서비스로의 연결을 설정하고 나면 다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Edit: 벡터 타일 연결 설정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Remove: 연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Browser 패널에서 항목을 오른쪽 클릭하면:
Add layer to project: 이 메뉴는 물론 더블 클릭으로도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Layer Properties…: 레이어 속성을 표시해서 서비스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및 미리보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불러온 후라면 더 많은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ile Resolution: Unknown (not scaled), Standard (256x256 / 96DPI), 또는 High (512x512 / 192DPI) 가운데 하나로 타일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Interpretation: WMTS/XYZ 래스터 데이터셋을 사전 정의 인코딩 스키마를 따르는 단일 밴드 부동소수점 유형의 래스터 레이어로 변환합니다. Default (변환 없음), MapTiler Terrain RGB 및 Terrarium Terrain RGB 스키마를 지원합니다. 선택한 변환기가 각 픽셀에 대해 RGB 소스 값을 부동소수점형 값으로 번역할 것입니다. 타일 레이어를 불러오고 나면, 레이어를 단일 밴드 부동소수점형 래스터 레이어로 표시하고 QGIS의 일반 래스터 렌더링 작업자 를 통해 스타일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OK 버튼을 눌러 연결하십시오. 그러면 다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Add: 프로젝트에 새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서 지정한 이름으로 불러옵니다.
Add layer to project: 이 메뉴는 물론 더블 클릭으로도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Layer Properties…: 레이어 속성을 표시해서 서비스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및 미리보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불러온 후라면 더 많은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의 XYZ 항목 또는 Browser 패널에 있는 XYZ Tiles 의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환경 설정을 .XML 파일로 (Save Connections)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일로부터 환경 설정을 (Load Connections)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꼭 XYZ 타일 서비스 연결 설정을 저장하지 않더라도 프로젝트에 XYZ 타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냥 한 번만 쓰면 되는 데이터셋 같은 경우 말이죠.) Data Source Manager ► XYZ 탭에서 Connection Details 그룹에 있는 속성을 편집하십시오. 앞의 Name 필드를 Custom 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Add 버튼을 클릭해서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불러오십시오. 레이어가 기본 이름인 XYZLayer 로 명명될 것입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의 ArcGIS REST 서버 탭 또는 Browser 패널에 있는 ArcGIS REST 서버 항목의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ArcGIS REST 서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New (또는 New Connection) 버튼을 누르고 다음을 설정하십시오:
탐색기 패널에 있는 콘텐츠 그룹을 통해, 대응하는 포털 종말점 URL이 설정된 ArcGIS 피처 서비스 연결을 탐색해볼 수 있습니다.
연결에 포털 종말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브라우저에 있는 연결을 펼치면 보통 표시되는 서비스 전체 목록 대신 “Groups” 및 “Services” 폴더를 표시할 것입니다. 그룹 폴더를 펼치면 사용자가 멤버로 있는 모든 콘텐츠 그룹 목록을 표시할 것입니다. 이 콘텐츠 그룹들 각각을 펼쳐보면 해당 그룹에 속해 있는 서비스 항목을 표시합니다.
Data Source Manager 대화창의 ArcGIS REST 서버 항목을 통해 환경 설정을 .XML 파일로 (Save Connections)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일로부터 환경 설정을 (Load Connections)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ArcGIS REST 서버로의 연결을 설정하고 나면 다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Edit: ArcGIS REST 서버 연결 설정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Remove: 연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Refresh: 연결을 새로고침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레이어를 찾기 위해 필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Only request features overlapping the current view extent: 현재 뷰 영역과 중첩하는 피처만 요청하는 이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어 목록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습니다.
Browser 패널에서 연결을 오른쪽 클릭하면:
Refresh: 연결을 새로고침합니다.
Edit connection…: 연결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Remove connection…: 연결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View Service Info: 기본 웹 브라우저를 열고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것입니다.
레이어 항목을 오른쪽 클릭하면:
View Service Info: 기본 웹 브라우저를 열고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것입니다.
Export layer… ► To File: 레이어를 파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Add layer to project: 이 메뉴는 물론 더블 클릭으로도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Layer Properties…: 레이어 속성을 표시해서 서비스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및 미리보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레이어를 불러온 후라면 더 많은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